2023년 부모급여 혜택 신청방법
부모급여는 매달 35만 원에서 70만 원의 금액을 지원하고 있는데, 지난달 25일 기준으로는 약 27만 명이 수급했으며, 3개월 전인 지난 1월에는 약 25만 명이 수급했다고 합니다. 이는 출생아 수가 늘어남에 따라 수령 대상자 수도 증가했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출산아에게 지원하는 특성상 연말까지 지급 대상자 수가 증가할 전망이며, 월별로 구체적인 대상자를 산출하기 어렵고, 어린이집 보육료가 부모급여보다 많은 경우에는 부모급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아이 출생 후 60일 이내에 신청하면 태어난 달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기간이 지난 뒤에 신청할 경우에는 신청한 달부터 지급되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출산 관련 지원 서비스를 함께 신청할 수 있는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이용하면 출생신고와 함께 부모급여, 아동수당, 첫만남 이용권 등을 한 번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3년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란 2023년 1월 25일부터 시행된 정책으로 2022년까지 진행했던 만 1세 이하 부모에게 지급하였던 영아수당을 확대하여 출산이나 양육으로 인해 소득이 감소하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개편 되었습니다.
부모급여 혜택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지급되는 출산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만 0세가 되는 아동은 월 70만 원을 받습니다.
- 만 1세가 되는 아동(2022년 이후 출생아부터 적용)은 월 35만 원을 받습니다.
- 2024년부터는 만 0세 아동은 월 100만 원, 만 1세 아동은 월 5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만 0세와 만 1세 모두 514,000원의 보육료 바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어린이집 만 0세반(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 부모는 보육료 514,000원을 받게 됩니다.
만 0세 아동의 경우, 부모급여 70만 원이 보육료 바우처 지원금액보다 크기 때문에, 그 차액인 186,000원을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지급 방법 및 시기
“출산급여”는 매달 25일에 입금되지만, 신청이 늦어져서 해당 달 25일에 받지 못한 경우, 다음 달 25일에 신청한 달의 출산급여를 같이 받게 됩니다.
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급여가 도입되어 현장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우처로 지급됩니다. 보육료 바우처는 매월 초부터 지원되며, 국민행복카드를 활용하여 바우처 지원금액을 결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 0세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지원액이 바우처 지원액보다 커서 매달 25일 신청한 계좌로 차액이 입금됩니다.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출생신고와 함께 부모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온라인 출생신고를 통해 온라인으로 일괄 신청이 가능하며,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출생신고서 제출 시 첫만남이용권, 아동수당, 부모급여 신청서를 함께 제출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기존 영아수당을 확대 도입하여, 이미 영아수당을 받고 있다면 별도로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신생아 경우 출생신고 시 부모급여 지급을 같이 신청하면 됩니다. 하지만, 출생신고 때 신청하지 않았다면,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복지로, 정부 24)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60일을 넘어가면, 신청은 가능하지만, 소급하여 받을 수 없으며, 2023년 1월 25일부터 신청한 계좌로 매월 25일에 입금되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우처로 지급됩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 대법원 온라인 출생신고 접속 및 접수
-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로 자동 연계되어 한번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 출생 신고서를 제출할 때 첫만남이용권,아동수당, 부모급여 신청서를 함께 작성 후 제출하면 됩니다.
2023년 부모급여 출산 혜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혜택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거나 급여가 부족한 경우, 부모가 아이와 함께할 시간과 비용을 지원하여 직접 양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가족, 친지, 기타 돌봄 인력 등의 지원을 받거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상황에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는 부모급여를 통해 경제적 도움을 제공하고, 아동에게 건강한 출발점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도 도입과 함께 출산 후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양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시간제 보육도 확대하는 등 종합적인 지원을 할 계획입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오늘 하루도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